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소형폐가전 무상수거 꿀팁

by 인생은 다큐 2025. 7. 17.

이사 갈 때마다 쌓이는 고장 난 소형 가전제품 무상수거 , 무료로 집 앞까지 수거해주는 방법이 있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결혼하고 나서 2년마다 이사를 다녔어요. 아이들도 자라면서 장난감처럼 여기던 드라이기, 선풍기, 고장난 전기밥솥 같은 소형 가전제품이 하나둘씩 쌓이기 시작했죠.

처음엔 그런 폐가전을 어떻게 버려야 하는지 몰라서 곤란했던 적이 많았어요. 그냥 종량제 봉투에 넣자니 안 되고, 대형 폐기물로 분류하자니 비용이 드는 것도 좀 아깝고요.

그러다가 소형폐가전 무상수거 서비스를 알게 되었고, 그때부터는 이사할 때마다 정말 큰 도움이 됐어요. 오늘은 그 경험을 바탕으로 이 서비스를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나눠보려고 해요. 저처럼 아직 잘 모르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면서요.


소형 폐가전이 뭐예요?

우리가 흔히 쓰는 가전제품 중에서도, 한 손으로 들 수 있는 크기의 전자제품들을 말해요.

예를 들면 이런 것들이요:

  • 고장 난 전기밥솥, 가습기, 믹서기
  • 잘 안 쓰는 드라이기, 고데기, 전기포트
  • 오래된 청소기, 선풍기, 전기히터
  • 그리고 노트북, 프린터, 전자사전

한마디로 "애매하게 버리기 어려운 것들"이 바로 소형 폐가전이에요.


소형폐가전, 그냥 버리면 안 되나요?

사실 처음엔 저도 그냥 쓰레기장에 조용히(?) 놔두면 되는 줄 알았어요. 근데 그건 불법투기라는 거, 알고 나서 깜짝 놀랐죠.

소형 폐가전은 일반 쓰레기나 분리수거로 배출하면 안 되고, 정해진 방법으로 수거를 요청해야 해요. 소형폐가전 무상수거 서비스를 이용하면 집까지 와서 수거해주니까 정말 편하답니다.


소형폐가전 무상수거 신청 방법

이건 제가 직접 몇 번 써봤던 방법인데요, 생각보다 간단해요.

① 온라인 신청

② 전화 신청

  • 전화번호: 1599-0903
  • 전화로도 친절하게 안내해 주세요. 저는 이사 직전에 한꺼번에 많이 버릴 일이 있어서 전화로 예약했었어요.

소형폐가전 무상수거, 어디서 이용할 수 있나요?

이런 서비스, 수도권에서만 되는 거 아니냐고 물으시는 분들 많으신데요. 소형폐가전 무상수거 서비스는 2025년 현재, 전국 대부분의 시·도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서울, 부산, 인천, 대구, 대전, 광주, 울산, 세종은 물론, 경기, 강원,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제주도까지 폭넓게 운영되고 있어요.

다만, 군 단위나 도서산간 지역에서는 수거가 제한되거나 일정이 유동적일 수 있으니, 신청 전 공식 사이트나 콜센터를 통해 확인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또한 몇몇 지자체에서는 자체적으로도 무상수거 제도를 운영하고 있어서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 서울 송파구는 동별 지정 업체가 직접 방문 수거를 진행하고,
  • 동대문구는 재활용 배출일에 맞춰 소형가전을 내놓기만 해도 수거가 돼요.
  • 용인시는 2025년부터 소형가전도 대형처럼 무상수거를 실시하고 있답니다.
  • 부산 해운대구, 중구 등도 별도의 지침을 통해 무상수거를 지원 중이에요.

요약하면, 대부분 지역은 환경부의 공식 무상수거 시스템을 통해 수거 가능하고, 일부 지역은 지자체만의 방식으로 추가 지원을 하고 있다는 점!

신청 전에 1599-0903 무상수거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우리 동네가 서비스 대상인지 한 번만 확인해보세요.
저도 처음엔 망설이다가 이 페이지에서 확인하고 바로 예약했답니다.

수거 가능한 물건 vs 불가능한 물건

 

 수거 가능한 물건 (작동 불량·부속품 없어도 OK!)

구분예시
주방가전 전기밥솥, 전자레인지, 믹서기, 커피포트, 토스터기, 전기프라이팬, 핫플레이트
청소·세탁용 유선/무선 청소기, 스팀청소기, 건조기, 다리미
미용·개인케어 드라이기, 고데기, 전기면도기, 전동칫솔, 발마사지기, 체중계
계절가전 선풍기, 온풍기, 전기히터, 가습기, 제습기, 냉풍기
IT·사무용 기기 노트북, 데스크탑 본체, 모니터, 프린터, 스캐너, 공유기, 키보드, 마우스
소형음향기기 라디오, 오디오, DVD플레이어, CD플레이어, 블루투스 스피커
기타 전자시계, 전화기, 전자사전, 게임기, CCTV 카메라, 모뎀 등
 

주의사항:

  • 작동이 되지 않아도 OK
  • 선이나 충전기 없어도 OK
  • 단, 수량이 5개 이상일 때 방문 수거 신청이 가능한 경우가 많아요

 

 


 수거 불가한 물건

구분예시처리 방법
조명류 형광등, 백열등, LED 전구 지정 수거함에 배출
건전지류 AA, AAA, 9V, 리튬이온 건전지 가까운 마트·주민센터 전용 수거함
배터리 내장형 가전 일부 무선청소기, 전동칫솔 등 배터리는 분리 후 배출하거나 민간 업체 위탁 필요
생활용품 플라스틱 장난감, 인형, 소형 비전자 제품 일반 쓰레기 또는 분리배출
1~2개 단품 가전 커피포트 1개, 드라이기 1개 등 단독 수거 불가. 5개 이상 신청 권장
 

팁:

  • 폐건전지와 형광등은 주민센터, 동사무소, 아파트 분리수거장 등에 수거함이 따로 있어요.
  • 조명기기와 건전지는 ‘전자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무상수거 대상이 아니랍니다.

이렇게 정리해두면, 무상수거 신청 전에 우리 집 가전제품이 대상인지 한눈에 체크할 수 있어서 정말 편해요.
이사나 대청소할 때 한꺼번에 5개 이상 모아서 신청하면 훨씬 수월하게 처리할 수 있답니다.


수거 전, 이건 꼭 확인하세요!

  • 수거일 전날 집 문 앞에 꺼내두면 끝이에요.
  • 박스로 포장하지 않아도 괜찮아요.
  • 여러 개 묶어둘 땐 부속품 같이 정리해 놓으면 더 좋아요.

이사 갈 때마다 새롭게 정리하게 되는데, 이 무상수거 서비스 덕분에 저도 한결 수월하게 짐 정리가 됐어요. 괜히 버릴 때 걱정하거나 고민하는 시간이 줄더라고요.


제가 이 방법을 추천하는 이유

이사라는 게 체력도 정신력도 다 쓰는 일이잖아요. 특히 가전제품 하나하나 정리하면서 ‘이걸 어떻게 버리지?’ 하는 스트레스도 크고요.

그런데 이 소형폐가전 무상수거 서비스를 알고 난 이후부터는, 그 고민이 아예 사라졌어요.

특히나 아이들 키우는 집이라면 작은 가전제품도 금방 고장나고 바꾸게 되잖아요. 그럴 때마다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는 팁이라 꼭 소개하고 싶었어요.


마무리 – 알고 나면 너무 쉬운 소형폐가전 버리기

고장난 믹서기 하나도, 망가진 드라이기 하나도 함부로 버릴 수 없는 요즘.
그래도 걱정 마세요. 소형폐가전 무상수거, 신청만 하면 집까지 와서 처리해줍니다.

저처럼 이사 갈 때마다 매번 쌓이던 가전제품들, 이제는 걱정 말고 이 방법으로 깔끔하게 처리해보세요.

혹시 주변에 이 정보 모르고 계신 분이 있다면, 꼭 알려주세요. 진짜, 생활 꿀팁이에요